이도형 코치의 관계 중심 코칭법 (3) 휴식은 몸과 마음이 함께 긴장을 푸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이도형 코치의 관계 중심 코칭법 (3)

“휴식은 몸과 마음이 함께 긴장을 푸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이도형​ 코치님께서는 신체의 휴식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충분히 쉴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학생운동선수들도 시즌이 끝나면 2~3개월 정도의 장기 휴식을 마련해 주었으면 합니다. 저는 몸과 마음의 휴식 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에서도 하나 덧붙이고 싶은데요. 소위 말해 ‘딴짓’도 좀 하면서 성장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딴짓’이 경기에 필요한 ‘멘탈’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말씀하시는 경북대학교 체육교육과 김진구 교수님의 견해도 함께 소개해 드립니다.

“축구에서 전반전에 0:2로 깨졌다면 라커룸에서 ‘빳다’ 20대 맞고 악에 받쳐서 후반전을 뛰는 걸 정신력이라고 해요. 근데 그건 아니죠. 정말 쓸데없는 거예요.”

“저는 프로선수라면 기술은 어느 정도 엇비슷하다고 보거든요. 그래서 선수들한테 항상 공부하라고 합니다. 공부라고 해서 심각한 그런 게 아니라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그것도 아니면 야구에 지장이 안 가는 탁구나 배구 등과 같은 다른 운동을요. 사람의 뇌에서 야구를 잘하게 하는 영역이 있다고 합시다. 그걸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주변을 강화해야 해요.”

“특정 영역만 활성화된 선수는 외부의 변화가 없을 땐 야구를 아주 잘합니다. 스트레스 등이 없다면 말이죠. 근데 현실에선 이런 상황이 안 주어지거든요. 그렇잖아요. 결국, 야구를 잘하려면 주변 요소를 강화해야 하는 거예요. 그래서 제가 선수에게 다른 걸 경험하라고 하는 이유입니다.”

“야구로만 머릿속을 채운 선수는 정상이 10이라면 7, 8만 내려가도 불안하게 느껴요. 안절부절못하거든요. 이렇게 되면 6, 7로 내려가는 게 아니라 바로 바닥으로 떨어집니다. 모래 늪에 빠지면 어떻게 되죠? 허우적거릴수록 빠져들잖아요. 그거나 같은 거죠.”

(김진구 교수님 인터뷰 기사 보기)

야구만 열심히 한다고 멘탈이 좋아질까?


Q 평소 운동선수의 휴식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A 제가 봤을 때는 선수들이 너무 많은 훈련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훈련이 많은 게 아니라 훈련시간이 너무 길어요. 솔직히 방학 때는 오전, 오후도 모자라 야간 훈련까지 하잖아요. 굉장히 긴 시간인데 실질적으로 선수 개인별로 운동량을 따져보면 시간에 비해서는 그다지 많지 않아요. 운동을 많이 해서 피곤한 것이 아니라 너무 길게 해서 선수들은 피곤합니다. 훈련스케쥴을 조금 조절을 해서 짧게 집중적으로 하고, 또 쉬었다가 짧게 하는 방식으로 가는 게 좋을 것 같은데, 야구장 문제도 있을거고 코치에 비해 선수가 너무 많은 문제도 있을거고 여러가지 문제가 있겠죠. 훈련을 짧게 해도 효율적으로 꾸준히 하면 충분히 좋아질텐데 예전부터 해왔던 것에 익숙해져 있어서 그냥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훈련을 조금만 하면 불안해 하고요. 그런 분위기가 조금 변화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나마 프로 쪽은 조금씩 좋아지고 있는데 아마츄어 선수들을 보면 휴식시간이 너무 없어요. 프로는 12월에 비활동기간이라고 해서 쉴 사람은 쉬고 개인적으로 연습할 선수는 하도록 보장을 해주는데요. 연습을 하고 안하고가 아니라 일단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풀 시간이 있거든요. 학생들 보면 1년 내내 연습이 계속 돌아가요. 일주일 중에 일요일 하루 쉴 때도 있고, 대회가 끝나면 2~3일 쉴 때도 있지만 그 정도 쉬어서는 피로가 풀리지 않거든요. 성장기에 있는 선수들이기 때문에 조금 더 장기적으로, 2~3주나 길게는 한 달 정도 휴식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우리나라는 쉬는 것에 대해 너무 인색한 것 같습니다. 몸을 썼으면 그만큼 충분한 휴식을 주어야 하는데 그러질 못하니 스트레스를 조금씩 받게 되거든요. 그러면 피곤하니까 결국 집중력도 떨어지고, 그러다보면 부상이 올 확률도 높아지는 것이죠. 운동하는 것만큼 휴식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