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능력을 키워주는 비전트레이닝 (이진)
눈의 기능이 움직임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많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비전 트레이닝의 개념과 효과를 쉽게 설명해 주시는, 스포츠사이언스랩 이진
눈의 기능이 움직임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많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비전 트레이닝의 개념과 효과를 쉽게 설명해 주시는, 스포츠사이언스랩 이진
부상을 입은 선수의 몸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나는 ‘재활’이라든지 부상으로부터의 ‘회복’ 같은 말 대신에 부상에 대한 ‘적응’이라는 표현을 우리 모두가
공격적으로 플레이하라고 선수에게 주문을 했는데 아웃이 되었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공격적인 거랑 무모한 거는 구분해야지’
진종길 코치님의 말씀 속에는 선수의 감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담겨 있습니다.
덕 래타 코치가 한국 코치와 나눈 대화를 말씀해 주시는 대목에 눈길이 갑니다.
최경주 선수의 이야기입니다. (사진 및 영상 출처 : PGA TOUR 페이스북) 스윙은 좋은데 골프는 못하고 개인기는 기가 막힌데 축구는 못하고
재활의학 전문의 김동현 원장님의 글입니다. (글, 사진 출처 : 김동현 원장님 페이스북) 재활및 트레이닝에서 가장 큰 오해중 하나는 ‘연습은 배반하지
서울휴재활의학과 김동현 원장님과 부상, 재활, 퍼포먼스, 신경과학 등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선수의 부상예방과 관리는 물론 코칭의 관점에서도 참고가 될만한
시카고 화이트삭스 라이언 뉴먼 수비 코디네이터가 소개하는 백핸드 캐치를 위한 기본기 연습입니다.
시카고 화이트삭스 라이언 뉴먼 수비 코디네이터의 이야기입니다.
골든글러브 유격수 닉 아메드 선수가 설명하는 하프 백핸드 동작의 포인트입니다. 아래 번역글을 보시고 영상을 이어서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여러
1루수의 연습방법을 다룬 콘텐츠가 무척 드문데요. 볼티모어 오리올스 바디 디커슨 코치가 1루수의 포구자세를 지도하는 짧은 영상에 자막을 붙였습니다.
SBS 이성훈 기자님의 컨벤션 강연은 ‘수비연습의 과학화’라고 하는 화두를 우리 야구계에 던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어떻게 움직임을 배우는가』 북토크에서 정연창 코치님께서 소개해 주신 트레이닝 사례입니다. 팔이 벌어지는 투수와 뒷발을 세우지 못하는 투수를 예로 들어
드라이브라인 Driveline Baseball의 CEO인 Mike Rathwell씨의 유소년 레슨에 대한 견해입니다. 1대1 레슨을 하는 코치와 학부모, 그리고 선수에게서 일어나는 마음(기대와 불안)과
드라이브라인에서 제안하는, 유소년 쓰로잉 훈련을 진행할 때 코치가 염두해 두어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 (사진 및 내용 출처 : 드라이브라인 플러스)
우리야구 9호 특별판 “킬로미터” 5장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이런 맹목적인 장시간 연습에서 벗어날 방법은 무엇일까. 일본 야구계는 우리나라보다 연습량을
코칭의 본질이 무엇인지 느낄 수 있는 덕 래타 코치의 이야기입니다. 전체 인터뷰 영상 보기 (6분 27초)
코끼리야동클럽 12차 모임의 자료들을 정리했습니다. 참여하신 분들의 개인적인 체험을 나누는 시간이 참 좋았습니다. 함께 본 영상의 한글 스크립트를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대화전문가이신 박기원 선생님을 모시고 ‘듣는다’는 행동 뒤에 숨은 다양한 맥락을 살펴보았습니다. 세션에 참여하신 학교야구부 감독님들의 생생한 이야기들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PGA 명예의 전당 교습가인 마이클 헤브론씨가 스탠포드대학에서 나온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뇌의 작용과 신경계의 관점에서 인간의 움직임을 이해하려는 연구들이 점점
경기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코치들의 치열한 노력, 기본기는 경기력과 비례하는가? 이론을 정리하는 작업의 가치 등등 종목에 관계없이 새겨들을 이야기가 많은 영상입니다.
샌디에고 대학 타격코치가 소개하는, 배트센서를 활용해 선수의 문제를 찾아가는 방법입니다. “연습 때는 잘 하는데 경기만 나가면 왜 그런지 모르겠다”는 소리를
피치클락(투수가 정해진 시간 안에 공을 던지도록 하는 룰) 시행을 강력하게 반대하는 스포츠의학자의 주장입니다. 이 분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선수의 안전을 위해
“킬로미터” 1장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투수의 구속 저하는 리그의 경기력을 떨어뜨린다. 여러 측면에서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투수가 던지는 공의 속도가
롭 그레이 박사의 책 『인간은 어떻게 움직임을 배우는가』는 최신 운동학습 이론과 스포츠코칭 분야의 새로운 접근법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난해한 이론들을 사례와
서울휴재활의학과 김동현 원장님의 인스타그램 포스팅을 보고 알게 된 재즈 에비뉴 유튜브인데요. 운동과도 맥이 닿는 이야기들과 선수, 코치에게 영감을 주는 내용들이
플레이볼! 전세계인의 축제, 라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그럼에도 야구 국제 대회로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이 드디어
늘 집중할 수도 없을 뿐더러 그게 반드시 효과적인 것도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DeepL.com 번역기를 이용했습니다.) 집중과 산만: 두 가지 사고 모드
학생야구경기는 프로팀의 경기와는 달리 덕아웃이 왁자지껄합니다. 팀동료들을 응원하기 위한 함성이 경기 내내 끊이지 않지요. 저학년 친구들이 온갖 우스꽝스런 동작을 곁들여
공격적으로 플레이하라고 선수에게 주문을 했는데 아웃이 되었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공격적인 거랑 무모한 거는 구분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