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야구만’이 부른 한일 차이
우리야구 9호 특별판 “킬로미터” 3장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국내에서는 일부 학계와 센터 중심으로 바이오 메카닉스 연구와 협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데이터 축적이나 연구 성과가 미흡한 수준이다. 데이터 야구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까지 갈 것도 없다. 가까운 일본만 해도 우리나라와 차이가 크다.
일본 프로야구에서는 소프트뱅크, DeNA 등 여러 팀이 바이오 메카니스트를 고용해 팀 전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실 일본에서 바이오 메카닉스를 가장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쪽은 학계다. 스포츠과학의 양대 산맥인 쓰쿠바대학과 와세다대학을 비롯해 도쿄대, 교토대 등 명문대학은 물론이고 운동역학을 다루는 학과가 있는 대학이라면 대부분 바이오 메카닉스와 관련한 연구에 힘쓰고 있다.
(사진제공 👉🏼 SSTC)
바이오 메카닉스에서 있어 한국과 달리 일본에서는 학계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야구 문화의 차이를 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야구부에 들어가는 순간, 오로지 프로야구 선수를 향한 외길을 걸을 수밖에 없다. 리틀야구 선수에게 “장래 꿈이 무엇이냐?”라고 물으면 99%가 프로야구 선수라고 답한다. 반면, 일본은 다르다. 분명히 어릴 때부터 프로야구 선수를 목표로 삼는 선수들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고시엔에 나가고 싶다” 정도이지 장래 직업을 야구선수로 생각하지는 않는다.
일본은 기본적으로 야구와 학업을 병행한다. 그런 만큼 야구 선수로 뛴 경험을 가진 이가 사회의 다양한 분야로 진출한다. 학계 역시 마찬가지다. 또한, 야구를 한 적이 없어도 어릴 때부터 동네야구나 만화 등을 통해 야구문화에 익숙하다. 야구와 관련한 부분을 연구 주제로 삼는 것 역시 그런 배경에 있다.
이기광 국민대 교수가 서울대 야구부의 일원으로 활동한 이력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어릴 때부터 야구를 하지 않은 이가 엘리트 야구계에 들어가기는 냉장고에 코끼리를 넣는 방법 만큼이나 거의 없다. 고교까지 야구를 한 이가 학계에 진출할 확률 역시 마찬가지다.
차명주 교수처럼 야구 경험과 역학 등 과학에 대한 이해를 모두 갖춘 이가 드물다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낳게 된다. 동작 분석을 통해 선수의 생체역학 데이터를 얻어도 그것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바이오 메카니스트는 야구를 모르고, 야구인은 운동역학 등 과학에 무지하기 때문이다.
우리야구 9호 특별판 “킬로미터” 구입은 👉🏼 우리야구스토어
우리야구협동조합 회원에게는 무료로 배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