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행복을 빼고 무조건 희생하겠다는 생각은 위험합니다.” (양윤희)

1편에서 이어집니다. ​앞서 말한 것들에 바탕을 두고 저는 지도자의 역할을 크게 3가지로 나눠보았습니다. ​1. 선수의 감정을 챙기는 코칭 (선수와의 공감대

더 읽기

“선수에게 말하는 것을 지도라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양윤희)

우리야구 6호(2021년 3/4월호)에 게재된 양윤희 감독님의 칼럼(유소년 지도자가 되려면 무엇이 가장 필요할까?)을 두 꼭지로 나눠 소개합니다. 지도자를 준비하는 후배 야구인들께

더 읽기

예쁜 폼보다 힘 쓰는 법을! (더케이베이스볼 아카데미 이제우 코치)

더케이베이스볼 아카데미 이제우 코치님과 나눈 이야기입니다. *예쁜 폼보다는 힘을 쓰는 법을 알려주려고 한다*어떤 방식이든 선수가 직접 해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더 읽기

15살 선수가 10년 후에 150km를 던지는 투수가 되려면 (차명주)

이번 올림픽을 전후로 우리 투수들의 구속이 몇 년째 정체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견해를 들어보았습니다. *​ 경험

더 읽기

부상을 당한 선수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일들 (김동현 원장의 스포츠의학 1)

서울휴재활의학과 김동현 원장님과 부상, 재활, 퍼포먼스, 신경과학 등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선수의 부상예방과 관리는 물론 코칭의 관점에서도 참고가 될만한

더 읽기

“도대체 아이와 어떤 식으로 대화해야 할까요?” (김병준)

“도대체 아이와 어떤 식으로 대화해야 할까요?”“도통 왜 저러는지 이해가 가질 않아요.” ​상담하며 선수 부모님들에게 자주 듣는 말입니다. 보통 자녀와의 대화에서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