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놈을 이용한 밴드 운동
메트로놈의 움직임과 소리를 외적큐로 이용해 뇌와 근육, 관절의 코디네이션 능력을 키우는 운동 방식입니다. Z-health 에릭 콥 박사의 설명에 자막을 붙였습니다.
더 읽기메트로놈의 움직임과 소리를 외적큐로 이용해 뇌와 근육, 관절의 코디네이션 능력을 키우는 운동 방식입니다. Z-health 에릭 콥 박사의 설명에 자막을 붙였습니다.
더 읽기네덜란드 야구대표팀 코치이면서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컨설턴트인 마타인 나이호프씨의 강연을 함께 보며 이야기 나눈 영상입니다. 프란스 보쉬 스타일 트레이닝의 전문가이신 박일봉
더 읽기『인간은 어떻게 움직임을 배우는가』의 추천사를 부탁드린 조세민 코치님께서 페이스북에 원고를 읽고 난 소감을 짧게 남겨주셨습니다. ”고립된 연습만을 반복하면 선수의 개성은
더 읽기플로리다 베이스볼 아머리 랜디 설리번 코치가 이야기하는 피칭 동작의 주요 포인트입니다.
더 읽기말이 다소 어렵습니다만 ‘명시적 학습’과 ‘암묵적 학습’을 구분하는 것은 코치가 연습을 세팅하는데 무척 중요합니다. 명시적 학습이란 마치 영어 단어와 문법을
더 읽기Z Health 에릭 콥 박사의 설명 영상에 자막을 붙였습니다. 뇌가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메트로놈을 이용해 훈련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더 읽기2010년 6월, 필자는 전 세계 스포츠 팬들이 그랬듯, 존 이스너와 니콜라스 마위의 역사적인 테니스 매치를 시청했다. 윔블던에서 열린 이 경기는
더 읽기우리야구 9호 특별판 “킬로미터” 5장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다케다 고교의 투수들은 연습에서 무게와 크기가 다른 다양한 공을 활용한다. 제구력이 나쁜
더 읽기오랜 시간 동안 피칭 코치들은 똑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해왔다. 하지만 사실 똑같은 피칭 동작을 반복할 수는 없다. 발목,
더 읽기미네소타 트윈스 웨스 존슨 코치는 선수가 같은 동작을 똑같이 재생하는 것이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마법의 드릴(연습)을 찾습니다. 그런게 있기는
더 읽기『인간은 어떻게 움직임을 배우는가』의 저자 롭 그레이 박사의 2021 청담리온정형외과 우리야구 컨벤션 강연 하이라이트 영상입니다.
더 읽기얼마 전 모 프로야구팀의 코치님과 코칭언어를 주제로 나눈 짧은 대화에 저의 의견을 살짝 덧붙여 재구성한 노트입니다. 같은 시공간에서 연습을 하고
더 읽기더케이베이스볼 아카데미 이제우 코치님과 나눈 이야기입니다. *예쁜 폼보다는 힘을 쓰는 법을 알려주려고 한다*어떤 방식이든 선수가 직접 해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더 읽기보호 글이라서 요약이 없습니다.
더 읽기방금 전 다저스 중계를 보다가 중계진의 코멘트가 귀에 꽂혔습니다. 맥스 먼시의 타석에서의 주의 컨트롤 방법을 소개하는 내용입니다. 주의 집중이 경기력에
더 읽기요즘 많은 선수들이 무게가 다르고, 크기도 조금씩 다른 웨이티드볼(플라이오케어볼)을 던지는 연습을 합니다. 이 연습의 배경에는 ‘차이학습법’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더 읽기보스턴 레드삭스의 Hitting Development and Program Design 디렉터인 제이슨 오차트 코치가 드라이브라인에서 일하던 2016년에 메이저리그 타자를 상대로 진행한 간단한 테스트.
더 읽기보호 글이라서 요약이 없습니다.
더 읽기배팅티와 코어빌로시티벨트를 활용해 움직임에 ‘제약’을 주어 원하는 동작을 이끌어 내는 연습입니다. 동작에 대해 말로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최대한 줄이고 연습
더 읽기메카닉에 대한 언급 없이, 선수의 움직임에 다양한 제약조건을 걸어 안좋은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는 제약 주도 constraints led 연습 방법입니다.
더 읽기워싱턴 대학교 테너 스완슨 코치는 몸의 움직임보다는 움직임이 만들어 내는 결과에 초점을 맞춰서 연습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합니다. 피드백
더 읽기훈련 중에 선수가 어디에 주의를 두어야 하는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글입니다. 우리나라의 스포츠코칭에서는 내적집중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느낌이 저에게는
더 읽기타격메카닉, 피칭메카닉 등 동작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선수의 ‘주의attention’를 어떻게 세팅해야 하는지에도 관심을 가졌으면 합니다. 타석에서, 마운드에서 어디에 주의를 두느냐에
더 읽기부상을 입은 선수의 몸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나는 ‘재활’이라든지 부상으로부터의 ‘회복’ 같은 말 대신에 부상에 대한 ‘적응’이라는 표현을 우리 모두가
더 읽기재활의학 전문의 김동현 원장님의 글입니다. (글, 사진 출처 : 김동현 원장님 페이스북) 재활및 트레이닝에서 가장 큰 오해중 하나는 ‘연습은 배반하지
더 읽기서울휴재활의학과 김동현 원장님과 부상, 재활, 퍼포먼스, 신경과학 등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선수의 부상예방과 관리는 물론 코칭의 관점에서도 참고가 될만한
더 읽기『인간은 어떻게 움직임을 배우는가』 북토크에서 정연창 코치님께서 소개해 주신 트레이닝 사례입니다. 팔이 벌어지는 투수와 뒷발을 세우지 못하는 투수를 예로 들어
더 읽기코끼리야동클럽 12차 모임의 자료들을 정리했습니다. 참여하신 분들의 개인적인 체험을 나누는 시간이 참 좋았습니다. 함께 본 영상의 한글 스크립트를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더 읽기PGA 명예의 전당 교습가인 마이클 헤브론씨가 스탠포드대학에서 나온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뇌의 작용과 신경계의 관점에서 인간의 움직임을 이해하려는 연구들이 점점
더 읽기서울휴재활의학과 김동현 원장님의 인스타그램 포스팅을 보고 알게 된 재즈 에비뉴 유튜브인데요. 운동과도 맥이 닿는 이야기들과 선수, 코치에게 영감을 주는 내용들이
더 읽기